현재 비상방송설비와 관련한 이슈가 무엇인지?
1. 현재 비상방송설비와 관련한 이슈가 무엇인지?
1) 소방청에서 지난 1월 3일 각 지자체에 전국 69,398개 현장에 대한 '비상방송설비 성능개선을 위한 종합대책 추진계획'을 발송하고 진행하고 있습니다.
2) 전국 69,398개소 대상(공동주택, 복합건축물, 공장, 교육연구, 근린생활, 업무시설, 기타)입니다.
-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,000㎡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전체 (비상방송설비의화재안전기준 - NFSC 202 제4조 제7호)
3)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(NFSC 202) 제5조 제1호의 '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 또는 단선되어도 다른 층의 화재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할 것'의 내용으로 현재의 설치되어 있는 1개의 앰프의 여러공간에 회선을 사용하는 배선방식 시에
▶(1) 화재로 인한 스피커 및 선로 단락(쇼트) 발생
▶(2) 앰프 정지 발생 또는 프로텍트 기능(앰프보호 기능)으로 방송 중지 상황
▶(3) 모든 층 또는 화재발생 층 이외에 비상방송이 송출 중지 현상 발생
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화재 시 문제 선로외에는 정상적인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.
4) 또한, NFSC 202 제4조 제5호에도 명기된 바, '조작부는 기동장치의 작동과 연동하여 해당 기동장치가 작동한 층 또는 구역을 표시 할 수 있어야 합니다. (관리실 또는 방재실에서 비상방송 장비의 방송 상태 확인)
5) 요약
- 어떤 층에 화재로 선로 문제 발생해도, 다른 층에 비상방송 송출이 문제 없이 송출 되도록 할 것
- 단락,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
- 비상방송 시 방송장치의 상태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을 것
2. 인터엠의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한 제품은 무엇이 있는지?
1) 기존 또는 신규건물(복합건축물, 공장, 교육연구, 근린생활, 업무시설, 기타)은 스피커 라인체커(SC-6224C)로 대응이 가능합니다.
2) 공동주택(아파트 등)의 RX-TX 방식은 ‘RX-TX 3000 시스템과 라인체커 기능이 탑재된 ARX-5132’를 사용하여야 합니다.
3) 신규 또는 각 층별 회로가 구성된 건물은 각 층별 앰프를 사용하며, 공간 및 비용 절감을 위해서
당사의 다채널 앰프 시리즈 (DPS, DPA Series)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
세운상가 새한음향 / 02-2267-9259 / 인켈새한음향쇼핑몰